F-4 팬텀
기폭 38.61ft (11.76m)
기고 16.47ft (5.02)
자체중량 30,328Ibs (13.75t)
최대이륙중량 61,795Ibs (28.02t)
최대무장적재량 16,000Ibs (7.25t)
전투 행동반경 683NM
엔진 General Electric J79-GE-17 터보제트 2기(E형)
실용 상승고도 54,382ft
거대한 덩치와 그에 걸맞은 압도적 파워와 탑재량, 기동성을 자랑했으며 진정한 멀티롤 파이터(Multirole fighter)로서 당대 어느 전투기보다도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냉전 시 라이벌이었던 소련이 F-4와 근접한 멀티롤 파이터를 생산할 수 있었던 것이 MiG-23, 그것도 최후기형인 MLD형이 등장한 이후에야 가능했다는 것이 이를 증명합니다.
제미니 계획을 앞두고 선발된 NASA 우주인단의 제2기인 뉴 나인 클래스가 대부분 1950년대에 개발되던 당시 F-4 프로그램에서 활동한 테스트 파일럿들입니다. 짐 러블, 존 영으로 대표되는 이들은 훗날 아폴로, 그리고 스카이랩, 우주왕복선 프로그램까지 이어지는 NASA의 역사를 장식합니다. 이 외에 미 해군 항공대 50주년을 기념한다고 F-4를 공중급유기까지 동원해서 전국 순회비행을 시킬 때의 조종사도 아폴로 12호 사령선 조종사인 리처드 고든입니다.
기폭 38.61ft (11.76m)
기고 16.47ft (5.02)
자체중량 30,328Ibs (13.75t)
최대이륙중량 61,795Ibs (28.02t)
최대무장적재량 16,000Ibs (7.25t)
전투 행동반경 683NM
엔진 General Electric J79-GE-17 터보제트 2기(E형)
실용 상승고도 54,382ft
거대한 덩치와 그에 걸맞은 압도적 파워와 탑재량, 기동성을 자랑했으며 진정한 멀티롤 파이터(Multirole fighter)로서 당대 어느 전투기보다도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냉전 시 라이벌이었던 소련이 F-4와 근접한 멀티롤 파이터를 생산할 수 있었던 것이 MiG-23, 그것도 최후기형인 MLD형이 등장한 이후에야 가능했다는 것이 이를 증명합니다.
제미니 계획을 앞두고 선발된 NASA 우주인단의 제2기인 뉴 나인 클래스가 대부분 1950년대에 개발되던 당시 F-4 프로그램에서 활동한 테스트 파일럿들입니다. 짐 러블, 존 영으로 대표되는 이들은 훗날 아폴로, 그리고 스카이랩, 우주왕복선 프로그램까지 이어지는 NASA의 역사를 장식합니다. 이 외에 미 해군 항공대 50주년을 기념한다고 F-4를 공중급유기까지 동원해서 전국 순회비행을 시킬 때의 조종사도 아폴로 12호 사령선 조종사인 리처드 고든입니다.
'세계의 항공병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틸트로터(Tiltrotor)? 벨 사와 보잉 사에서 개발한 V-22 오스프리 (0) | 2019.11.18 |
---|---|
치누크와 같은 모델을 기반으로 만든 CH-46 시 나이트 (0) | 2019.11.17 |
현역 기종 중 최다 판매 중...전장의 일꾼 F-16 (0) | 2019.11.11 |
F/A-18의 시제기, YF-17 (0) | 2019.11.10 |
B-52를 대체할 계획이었지만...B-1 랜서 (0) | 2019.11.05 |